Book/CRACKING THE CODING INTERVIEW

[4장 면접 전에, 이력서, 계획] 코딩 인터뷰 완전 분석 CRACKING THE CODING INTERVIEW

목차

4장. 면접 전에

 면접은 한참 전부터 준비하는 것이다. "언제", "무엇"을 시작할지 늘 고민하고, 늦었더라도 할 수 있는 만큼 따라잡는 노력을 해야 한다. 집중하자

 

 적절한 경험 쌓기

 학생이라면, 큰 규모의 프로젝트 수업에 집중하고 인턴 준비, 해커톤, 오픈 소스 프로젝트 등에 참가하라. 그저 코딩을 한다는 것 자체가 중요하므로 모든지 해보자

 직장인이라면, 코딩을 많이 할 수 있는 대형 프로젝트에 참여하자. 저녁과 주말에는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나 모바일 앱, 웹 앱을 만들어서 새 기술에 대한 경험을 쌓고 기술적으로 시대에 뒤쳐지지 않도록 한다.

 

이력서 작성

 - 적절한 이력서 길이: 미국의 경우, 경력이 십 년 미만이면 이력서를 한 페이지로 만들도록 권장함. 내 생각에 우리나라는 2, 3페이지. 취미보다는 기술적인 부분이 훨씬 중요.

 - 고용 이력: 직무 별로 "~를 구현해서 ~을 성취했고, 그 결과 ~을 이루었다." 로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함. 

ex) "분산 캐시를 구현해서 오브젝트 렌더링 시간을 75% 줄였고, 그 결과 로그인 시간을 10% 절감할 수 있었다."

ex) "windiff에 기반한 새로운 비교 알고리즘을 구현한 결과, 평균 비교 정확도를 1.2에서 1.5로 개선했다."

 - 프로젝트: 가장 중요했던 프로젝트 2~4개 (무슨 프로젝트, 어떤 언어 사용, 어떤 기술 이용), 독립된 프로젝트를 더 선호함. 너무 많이 적는 것은 피하기. 개인이 어떤 역할을 했고 어떤 기능을 만들었는지 중요. 

 - 프로그래밍 언어와 소프트웨어: 비주얼 스튜디오나 이클립스를 사용했다는 소리는 ㄴㄴ. 특히, 비주얼 베이직은 낙인 받기 좋은 언어이므로 피하기. 언어를 하나만 팠다고 하기 보다는 다양한 언어를 시도했다는 것을 어필.

ex) 자바(전문가), C++(능숙), 자바스크립트(경험 있음)

ex) Python(★★★★☆), C/C++(★★★☆☆), 자바(★☆☆☆☆), ROS(★★★☆☆)

 

면접까지 ~ 남았으면 이렇게 계획해라!

  • 면접까지 1년 이상 남은 경우
    • 학교나 회사 외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
    •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
    • 희망 직종과 연관된 인맥을 확대
    • 어떤 경험을 했는지 보여 주는 웹사이트나 포트폴리오를 구성. 필자의 추천 방법(Github, Linkedin, 기술블로그(티스토리, github.io), 자소서 작성시 내는 전공소개서나 기술소개서 같은 것을 작성해보기 (5장 내외 혹은 10분 이내로 발표할 수 있는 분량을 선호함))
    • 학생이라면 인턴으로 일할 기회를 찾고 대규모 프로젝트에 관계된 수업을 수강하라
    • 직장인이라면 얻을 게 많은 프로젝트에 집중하라
  • 면접까지 3~12개월 남은 경우
    • 프로젝트에 계속 참여하라. 새로운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 애써라
    • 이력서 초안을 만들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검토하라
    • 응시할 회사의 목록을 만들어라
    • 이 책의 1~8장 부분을 읽으면서 면접 준비 시작
    • big-O의 개념을 완전히 숙달하라
    •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처음부터 다시 구현하라
    • 친구와 팀을 짜서 가상 면접 연습을 하라
  • 면접까지 1~3개월 남은 경우
    •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자그마한 프로젝트들을 하라
    • 가상 면접을 몇 차례 진행하라
    • 면접 문제들을 계속 연습하라
    • 문제를 풀다 저지른 실수들의 목록을 만들라
  • 면접 4주 전
    • 면접 대비표를 작성하라 (5장 및 첨부 파일 참고)
    • 이력서를 재검토하고 수정하라
    • 회사에 실제로 지원하라
    • 이 책의 1~8장 부분을 다시 읽어라. 특히, 5장-행동 문제와 7장-기술적 문제를 다시 검토해라
    • 가상 면접을 한번 더 하라
    • 계속 문제를 연습하고 코드를 종이에 작성하는 훈련을 하라
  • 면접 1주 전
    • 전화 면접: 헤드셋과 비디오 카메라를 준비하라
    • 최종 가상 면접을 하라
    • 면접 대비표를 보고 시나리오를 리허설 하라
    • 알고리즘 접근법을 다시 읽어라
    • big-O 부분을 다시 읽어라 (6장 참고)
    • 면접 문제를 계속 연습하라
  • 면접 전날
    • 면접 대비표에 적은 모든 시나리오를 리허설하라
    • 계속 면접 문제를 실습하고 실수 목록을 재검토하라
    • 2의 승수표를 잘 외워둬라, 전화 사전 면접이라면 출력해서 참고하라
  • 면접 당일
    • 자신감
  • 면접 후
    • 구인 담당자에게 감사하다는 메일을 보낸다
    • 일주일이 지나도록 연락이 없다면 연락을 취하라
    • 탈락했다면 다시 응시해도 되는지 질문하라. 희망을 잃지 마라